전체 글 276

(주간컴공)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S1. 객체지향 기술 1. 객체지향 기술의 개념 1) 소프트웨어 위기 : 개발, 유지보수 비용 증대, 하드웨어 기술 대비 약한 기술력, 다양성, 전문성 증가에 비해 평가기준 미흡 2) 객체지향 기술 - 특징 : 현실세계 개체 -> 디지털 개체(속성+메소드), 객체와 객체간 통신을 통해 프로그램 구현 - 정의 객체 : 속성과 메소드로 구성된 클래스의 인스턴스 속성 : 객체를 나타내는 자료구조, 상태값 등 메소드 ; 속성에 대한 연산기능, 객체가 수행하는 행위 3) 장단점 : 객체를 재사용(확장성, 유지보수 용이)하여 쉽고 빠르게 실제 세계와 유사한 형태로 개발, 객체 자체 설계가 어렵고 속도가 비교적 느림 2. 객체지향 기술의 구성요소 1) 클래스(Class) : 객체의 타입을 정의하고 객체를 구현(생성)..

(주간컴공)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절차지향 프로그래밍

S1. C언어 - 데이터 가공 및 입출력 1. C언어의 특징과 작성 규칙 1) C언어의 특징 - 고급 언어와 저급 언어의 특징을 고루 갖춤(중급언어) - 구조적(절차적) 프로그래밍 - 이식성, 효율성, 다양한 기능 - 하드웨어 제어가능한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 2) 작성규칙 - 프로그램의 시작은 main() 함수 - 대소문자 구분 - 블록({})구조, 세미콜론(;) 사용 - 전처리기와 주석 사용 2. C언어의 상수 1) 정수형 상수 - 10진수 : 일반적인 방식으로 표기 ex. 10, 34, -56, .. - 8진수 : 숫자앞에 0을 붙여 표기 ex. 023, 058, 07.. - 16진수 : 숫자앞에 0x를 붙여서 표기 ex. 0xD2, 0x137, 0xFFF, .. 2) 실수형 상수 - 10진수 : ..

(주간컴공)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프로그래밍 언어 기초

S1. 프로그래밍 언어 1. 프로그래밍 언어의 개념 1) 자연어 -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 앞뒤 문맥, 상황, 경험을 토대로 의미를 이해 - 모호성과 부정확성 때문에 컴퓨터에게 명령전달이 어려움 2) 기계어 - 컴퓨터가 별다른 해석없이 읽을 수 있는 언어 - 명확한 의미와 정확한 문법으로 구성 - 0과 1만 사용하여 구성하기 때문이 학습이 매우 어려움 3) 프로그래밍 언어 - 하드웨어 : 컴퓨터를 구성하는 물리적인 기계장치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개발되는 프로그램의 총칭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해 규칙을 정하고 지시를 내림, 프로그래밍 :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제작하는 절차, 코딩: 코드를 통해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일 프로그래밍 언어 : 하드웨어가 명령을 수행..

정보처리기사 -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응용 SW기초 기술 활용 (2)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응용 SW기초 기술 활용 E > 스케줄링 - 스케줄링(Scheduling)의 개요 : 필요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해당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 작업, 장중단기, 문맥교환 - 스케줄링의 목적 : 처리율(량) 증가, CPU이용률 증가, 응답시간(Response Time, 반응시간) 최소화, 반환시간(Turn Around Time) 최소화, 대기시간 최소화 - 프로세스 스케줄링의 기법 비선점(Non-Preemptive) 스케줄링(진행중 뺏기 불가능) : 해당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까지 CPU를 사용, FCFS(선입선출), SJF(수행시간이 짧은것 우선), 우선순위, HRN((대기시간+서비스시간)/서비스시간), 기한부 등 선점(Preemptive) 스케줄링(진행중 뺏기 가능) : ..

정보처리기사 -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응용 SW기초 기술 활용 (1)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응용 SW기초 기술 활용 A > 운영체제의 개념 -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의 정의 :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 제공 - 운영체제의 목적 : (일정 시간내)처리 능령 향상, 반환 시간 단축, 사용 가능도 향상(즉시 사용가능), 신뢰도 향상 - 운영체제의 기능 :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파일 및 정보 등의 자원 관리, 인터페이스 - 운영체제의 주요 자원 관리 :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주변장치 관리, 파일 관리 - 운영체제의 종류 : Windows, UNIX(Bell), LINUX(무료), MacOS, MS-DOS 등 > Windows - Windows의 개요 그래픽 사용자 인터..

정보처리기사 -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A, B, C, D > 데이터타입 - 데이터 타입 : 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 정수, 부동 소수점, 문자, 문자열, 불린, 배열 - C/C++의 데이터 타입 크기 및 기억 범위 : 문자(char, 1byte), 부호없는 문자형(1byte), 정수(short(2), int(4), long(4), long long(8)), 부호없는 정수형, 실수(float(4), double(8), long double(8)) - JAVA의 데이터 타입 크기 및 기억 범위 : 문자(char, 2byte), 정수(byte(1), short(2), int(4), long(8)), 실수(float(4), double(8)), 논리(boolean) > 변수..

정보처리기사 -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활용 / 서버 프로그램 구현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활용 ▷ 서버 프로그램 구현 > 개발환경 구축 - 개발 환경 구축의 개요 : 개발 프로젝트를 이해하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장비를 구축하는 것 - 하드웨어 환경 : 클라이언트(요청/pc. mobile)와 서버(응답/웹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DB서버, 파일 서버)로 구성 - 소프트웨어 환경 : 시스템 소프트웨어(OS, 서버프로개름, DBMS)와 개발 소프트웨어(요구사항 관리- 수집, 분석추적, 설계모델링, 구현, 빌드, 테스트, 형상관리)로 구성 > 서버개발 - 서버개발의 개요 : 웹 어플리케이션의 로직을 구현할 서버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탑재하는 것, Java, JS, Python, Php, Ruby - 서버 개발 프레임워크 : 서버프로그램 개발시 클..

정보처리기사 - 제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 데이터 전환

제3과목 데이터 전환 ▷ 데이터 전환 > 데이터 전환 - 데이터 전환의 정의 : 운영중인 기존 정보 시스템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새로 개발한 정보 시스템에서 운영가능하도록 변환한 후 적재하는 일련의 과정 - 데이터 전환 프로세스 :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접근 필요, ETL : 추출(Extraction) -> 정제 -> 변환(Transformation) ->적재(Load) -> 검증 - 데이터 전환 계획서 : 데이터 전환이 필요한 대상을 분석하여 데이터 전환작업에 필요한 모든 계획을 기록하는 문서 주요항목 : 데이터 전환 개요, 데이터 전환 대상 및 범위, 데이터 전환 환경 구성, 데이터 전환조직 및 역할, 데이터 전환일정, 데이터 전환 방안, 데이터 정비 방안, 비상 계획, 데이터 복구 대책 ..

정보처리기사 - 제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 SQL 응용, 활용

제3과목 SQL 응용 ▷ SQL 응용 A, B > SQL의 개념 -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개요 : 1974, IBM에서 제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언어, 관계대수+관계해석 - SQL의 분류 DDL(Data Define Language, 데이터 정의어) : DB관리자, DB설계자가 주로 사용, 스키마, 도메인, 테이블, 뷰, 인덱스, 정의(CREATE), 변경(ALTER), 삭제(DROP)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어) : 검색(SELECT FROM), 삽입(INSERT INTO), 삭제(DELETE FROM), 수정(UPDATE SET) + WHERE 조건 DML-JOIN : INNER JOIN, OUTER JOIN, SEL..

정보처리기사 - 제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2)

제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C > 파티션 설계 - 파티션(Patitaion)의 개요 대용량의 테이블이나 인덱스를 작은 논리적 단위인 파티션으로 나누는 것, 분산 저장, 성능저하방지, 데이터관리 용이, 데이터처리(테이블 단위), 데이터저장(파티션 단위) - 파티션의 장점 파티션별로 데이터가 분산되어 저장되므로 디스크 성능 향상 파티션별로 백업 및 복구를 수행하므로 속도가 빠름, 데이터 가용성향상 시스템 장애시 데이터 손상정도 최소화 - 파티션의 단점 세심한 관리 요구, 테이블간 조인에 대한 비용 증가 - 파티션의 종류 범위분할(Range Partitioning, 열의 값), 해시분할(Hash Partitioning, 해시함수, 일정한 데이터값), 조합분할(Composite Pa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