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70

정보처리기사 - 제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요구사항 확인 (2)

제 1과목 요구사항 확인 ▷ 요구사항 확인 C > 요구사항 1. 요구사항 개념 : 설명, 제약조건, 기준, 근거, 의사소통 원활 2. 요구사항 유형 1) 기술 내용에 따라 기능요구사항 (시스템, 기능, 제공) vs 비기능요구사항 (장비, 성능, 인터페이스, 데이터, test, 보안, 품질) 2) 기술관점과 대상의 범위에 따라 시스템 요구사항 (개발자 관점, 시스템이 제공해야할, 전문적, 기술적, sw 요구사항) vs 사용자 요구사항 (사용자 관점, 이해하기 쉽게) 3.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 (요구공학) 체계적 도출 -> 분석 -> 명세화(문서화) -> 확인 4. 요구사항 도출 요구사항에 대한 수집, 의견교환, 개발자+고객의 관계형성, 의사소통, 인터뷰, 설문, 워크샵, 브레인스토밍 5. 요구사항 분석 ..

정보처리기사 - 제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요구사항 확인(1)

혹시 제 블로그 보시고 정보처리기사 공부하시는 분들께.. 인프런 정보처리기사 강의를 무료로 들을수있는 기회가 있어서 해당 강의위주로 들었는데 추천하진않아요.. 전체적인 그림이 전혀 그려지지않는..ㅠ 그래서 저는 유튜브에 으로 다시들었습니다(근데 주간컴공은 5과목 영상이 없어요;;) 제 1과목 요구사항 확인 ▷ 요구사항 확인 A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 비용산정, 개발계획 뒷받침, 표준화 가능, 관리 용이 1. 폭포수형 모형 폭포수 모델을 따르기 위해서는 완전히 순차적으로 한단계씩 진행해 나가야한다. 폭포수 모델은 전 단계가 수행되어 완료되기 전에는 다음단계로 진행할 수 없도록 제한한다.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명확해야함 (이전 단계 수정x) 계획(타당성/ 비용,자원,기간 산정) -> 요구분석(요구사항 문서화)..

[코어 JS] 5.4 - 배열

5.4 배열 배열 키를 사용해 식별가능한 값을 담은 컬렉션은 객체라는 자료구조를 이용해 저장하는데 객체만으로도 다양한 작업이 가능 객체는 순서와 관련된 메서드가 없어서 불편하고 애초에 순서를 고려하지않는 자료구조이므로 '사이에' 끼워넣는 기능이 불가능, 순서가 있는 컬렉션이 필요할 때, 배열을 사용 배열 선언 //빈배열 생성 let arr = new Array(); let arr = []; let fruits = ["사과", "오렌지", "자두"]; 각 배열의 요소에는 0부터 시작하는 숫자(인덱스)가 있고, 이 숫자는 배열 내 순서를 나타냄, 배열 내 특정 요소를 얻을 때는 대괄호 안에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인 인덱스를 넣어서 확인 let fruits = ["사과", "오렌지", "자두"]; alert( ..

[코어 JS] 5.3 - 문자열

5.3 문자열 JS에는 글자 하나만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자료형이 없음,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 길이에 상관없이 문자열 형태로 저장 JS에서 문자열을 인코딩 방식과 무관하게 항상 UTF-16 형식을 따름 따옴표 작은따옴표, 큰따옴표, 백틱 let single = '작은따옴표'; let double = "큰따옴표"; let backticks = `백틱`;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는 기능상 차이 없음, 표현식을 ${..}로 감싸고 백틱(`)으로 감싸고 문자열 중간에 넣어주면 해당 표현식을 문자열 중간에 삽입 가능 ( template literal) function sum(a, b) { return a + b; } alert(`1 + 2 = ${sum(1, 2)}.`); // 1 + 2 = 3. 백틱을 사용하면 ..

[코어 JS] 5.2 - 숫자형

5.2 숫자형 숫자형 모던 JS에서 숫자를 나타내는 두가지 자료형 1. 일반적인 숫자는 '배정밀도 부동소수점 숫자(double precision floating number)'로 알려진 64비트 형식의 IEEE-754에 저장 2. 임의의 길이를 가진 정수 BigInt, 일반적인 숫자의 범위 2-53 ~ 253 밖의 숫자 숫자를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 let billion = 1000000000; //0의 갯수가 많아서 오류가 생길 수 있음 let billion = 1e9; // 10억, 1과 9개의 0 alert( 7.3e9 ); // 73억 (7,300,000,000) 'e' 의 오른쪽에 오는 수만큼 10의 거듭제곱 1e3 = 1 * 1000 1.23e6 = 1.23 * 1000000 1마이크로초(백만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