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70

정보처리기사 - 제5과목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제5과목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A > Secure SDLC ( SDLC : SW 개발 생명주기 ) - Secure SDLC의 개요 : 보안상 안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SDLC에 보안 강화를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한 것 -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의 보안 활동 : 보안항목에 해당하는 요구사항을 식별하는 작업 수행, 요소별 등급구분 - 보안 요소 : 기밀성(비밀), 무결성(정확성, 허가된 사용자만 수정 가능), 가용성(언제든 사용가능), 인증(사용자 확인), 부인방지 - 설계단계에서의 보안 활동 : 식별된 요구사항들을 소프트웨어 설계서에 반영하고 보안설계서 작성 - 구현단계에서의 보안 활동 : 표준 코딩 정의서 및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가이드를 준수하며 설계서에 따라 보안 ..

정보처리기사 - 제5과목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 IT 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2)

제5과목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 IT 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C, D > SW 관련 신기술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기술 아키텍처 -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Software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의 여러 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 에스크로(임치)(Software Escrow) :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고 사용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소프트웨어를 안정적으로 사용 및 유지보수 받을 수 있도록 소스 프로그램과 기술 정보 등을 제3의 ..

정보처리기사 - 제5과목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 IT 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1)

제5과목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 IT 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A >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 IoT(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 :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기술, 사람-사물, 사물-사물, 하이패스 - M2M(Machine to Machine, 사물통신) : 무선 통신을 이용한 기계와 기계 사이의 통신, 무선카드조회기, 가스원격거침 - 모바일 컴퓨팅(Mobile Computing) : 휴대용 기기로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는 환경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 각종 컴퓨터 자원을 중앙 컴퓨터에 두고 인터넷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컴..

정보처리기사 - 제5과목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활용

제5과목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활용 A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개요 : 소프트웨어 개발, 유지보수 등에 필요한 여러가지 일들의 수행 방법과 각종 기법 및 도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표준화 한것, SW생산성 향상, 품질향상의 목적 - 구조적 방법론 : 정형화된 분석 절차에 따라 사용자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문서화하는 처리(Process)중심의 방법론, 타당성 검토 - 계획 - 요구사항 문서화 - 설계 - 구현 - 시험 - 운용/유지보수, 프로그램 코드 생성 - 정보공학 방법론 : 정보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상호 연관성 있게 통합 및 적용하는 자료 중심의 방법론, 개발 주기를 이용하여 대규모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적합, 정보전략 - 업무영역 분석 -..

(주간컴공)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S1. 객체지향 기술 1. 객체지향 기술의 개념 1) 소프트웨어 위기 : 개발, 유지보수 비용 증대, 하드웨어 기술 대비 약한 기술력, 다양성, 전문성 증가에 비해 평가기준 미흡 2) 객체지향 기술 - 특징 : 현실세계 개체 -> 디지털 개체(속성+메소드), 객체와 객체간 통신을 통해 프로그램 구현 - 정의 객체 : 속성과 메소드로 구성된 클래스의 인스턴스 속성 : 객체를 나타내는 자료구조, 상태값 등 메소드 ; 속성에 대한 연산기능, 객체가 수행하는 행위 3) 장단점 : 객체를 재사용(확장성, 유지보수 용이)하여 쉽고 빠르게 실제 세계와 유사한 형태로 개발, 객체 자체 설계가 어렵고 속도가 비교적 느림 2. 객체지향 기술의 구성요소 1) 클래스(Class) : 객체의 타입을 정의하고 객체를 구현(생성)..

(주간컴공)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절차지향 프로그래밍

S1. C언어 - 데이터 가공 및 입출력 1. C언어의 특징과 작성 규칙 1) C언어의 특징 - 고급 언어와 저급 언어의 특징을 고루 갖춤(중급언어) - 구조적(절차적) 프로그래밍 - 이식성, 효율성, 다양한 기능 - 하드웨어 제어가능한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 2) 작성규칙 - 프로그램의 시작은 main() 함수 - 대소문자 구분 - 블록({})구조, 세미콜론(;) 사용 - 전처리기와 주석 사용 2. C언어의 상수 1) 정수형 상수 - 10진수 : 일반적인 방식으로 표기 ex. 10, 34, -56, .. - 8진수 : 숫자앞에 0을 붙여 표기 ex. 023, 058, 07.. - 16진수 : 숫자앞에 0x를 붙여서 표기 ex. 0xD2, 0x137, 0xFFF, .. 2) 실수형 상수 - 10진수 : ..

(주간컴공)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프로그래밍 언어 기초

S1. 프로그래밍 언어 1. 프로그래밍 언어의 개념 1) 자연어 -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 앞뒤 문맥, 상황, 경험을 토대로 의미를 이해 - 모호성과 부정확성 때문에 컴퓨터에게 명령전달이 어려움 2) 기계어 - 컴퓨터가 별다른 해석없이 읽을 수 있는 언어 - 명확한 의미와 정확한 문법으로 구성 - 0과 1만 사용하여 구성하기 때문이 학습이 매우 어려움 3) 프로그래밍 언어 - 하드웨어 : 컴퓨터를 구성하는 물리적인 기계장치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개발되는 프로그램의 총칭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해 규칙을 정하고 지시를 내림, 프로그래밍 :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제작하는 절차, 코딩: 코드를 통해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일 프로그래밍 언어 : 하드웨어가 명령을 수행..

정보처리기사 -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응용 SW기초 기술 활용 (2)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응용 SW기초 기술 활용 E > 스케줄링 - 스케줄링(Scheduling)의 개요 : 필요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해당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 작업, 장중단기, 문맥교환 - 스케줄링의 목적 : 처리율(량) 증가, CPU이용률 증가, 응답시간(Response Time, 반응시간) 최소화, 반환시간(Turn Around Time) 최소화, 대기시간 최소화 - 프로세스 스케줄링의 기법 비선점(Non-Preemptive) 스케줄링(진행중 뺏기 불가능) : 해당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까지 CPU를 사용, FCFS(선입선출), SJF(수행시간이 짧은것 우선), 우선순위, HRN((대기시간+서비스시간)/서비스시간), 기한부 등 선점(Preemptive) 스케줄링(진행중 뺏기 가능) : ..

정보처리기사 -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응용 SW기초 기술 활용 (1)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응용 SW기초 기술 활용 A > 운영체제의 개념 -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의 정의 :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 제공 - 운영체제의 목적 : (일정 시간내)처리 능령 향상, 반환 시간 단축, 사용 가능도 향상(즉시 사용가능), 신뢰도 향상 - 운영체제의 기능 :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파일 및 정보 등의 자원 관리, 인터페이스 - 운영체제의 주요 자원 관리 :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주변장치 관리, 파일 관리 - 운영체제의 종류 : Windows, UNIX(Bell), LINUX(무료), MacOS, MS-DOS 등 > Windows - Windows의 개요 그래픽 사용자 인터..

정보처리기사 -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제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A, B, C, D > 데이터타입 - 데이터 타입 : 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 정수, 부동 소수점, 문자, 문자열, 불린, 배열 - C/C++의 데이터 타입 크기 및 기억 범위 : 문자(char, 1byte), 부호없는 문자형(1byte), 정수(short(2), int(4), long(4), long long(8)), 부호없는 정수형, 실수(float(4), double(8), long double(8)) - JAVA의 데이터 타입 크기 및 기억 범위 : 문자(char, 2byte), 정수(byte(1), short(2), int(4), long(8)), 실수(float(4), double(8)), 논리(boolean) > 변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