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과목 인터페이스 설계
▷ 인터페이스 설계
>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구성 : 인터페이스 이름, 연계 대상 시스템, 연계 범위 및 내용, 연계 방식, 송신 데이터, 인터페이스 주기, 기타 고려사항
-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 기능적(시스템)/비기능적(제약사항) 분류, 조직화, 구체화
-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절차 : 요구사항 선별, 목록화 -> 자료준비 -> 기능적, 비기능적 분류 -> 내용추가, 수정
5) 관계자에게 전달
>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
- 요구사항 검증 : 요구사항 검토 계획 수립 -> 검토 및 오류수정 -> 베이스라인 결정
1) 요구사항 검토 계획 수립 : 검토기준 및 방법, 참여자 선정, 체크리스트(완전성, 일관성 명확성 등), 관련 자료(요구사항 목록,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명세서, 시스템 구성도), 일정
2) 검토 및 오류 수정
3) 베이스라인 설정
4) 요구사항 검증 방법 : 요구사항 검토(수작업, 동료, 워크스루(명세서 사전검토), 인스펙션(명세서 작성자를 제외한 인원이 검토), 프로토타이핑(견본품), 테스트 설계, CASE도구 활용(일관성)
5)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의 주요항목 : 완전성(누락x), 일관성(모순x, 충돌x), 명확성, 기능성(무엇을), 검증가능성, 추적가능성, 변경용이성
> 인터페이스 시스템 식별
- 개발 시스템 식별 : 시스템의 식별 정의, 목록 작성
- 내외부 시스템 식별
- 내외부 시스템 환경 및 관리 주체 식별 : IP, url, port/관리 담당지
- 내외부 시스템 네트워크 연결 정보 식별 : 로그인, DB정보
- 인터페이스 식별 : 내외부간의 식별, 목록화
- 인터페이스 시스템 식별 : 송신/수신
> 송수신 데이터 식별
- 식별 대상 데이터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시스템 공통부(연동 공통정보), 거래 공통부), 송수신 데이터항목, 공통코드(시스템에서 공통 사용)
- 정보흐름 식별
- 송수신 데이터 식별 : 인터페이스 표준항목과 송수신 데이터항목 식별, 코드성 데이터 항목 식별
>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화(문서화)
-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화의 개념
- 인터페이스 종류
시스템 연계 기술 : DB링크, API
인터페이스 통신 유형 : 단방향 통신, 동기(응답요청, 대기), 비동기(요청, 응답시 처리)
인터페이스 처리 유형 : 실시간 처리방식, 지연처리방식(30건 당 처리), 배치방식(대량처리)
인터페이스 발생주기 : 업무성격, 데이터 전송량에 따라 주기 설정
- 송수신 방법 명세화
- 송수신 데이터 명세화
- 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 명세화
>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 작성
-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개요 :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
-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 작성 : 업무시스템과 내외부 시스템간의 데이터 목록
-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 작성 : 데이터항목, 구현요건, 데이터저장소, 속성, 상세정보
> 미들웨어 솔루션 명세
- 미들웨어 : middle + software, OS외 추가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SW
DB, RPC(원격 프로시저 호출)
MOM(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메시지 기반 비동기형 메시지), TP-Monitor(항공기, 철도예약업무)
ORB(객체요청 브로커, CORBA의 표준스펙 구현), WAS(App Application Server,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적인 컨텐츠 처리 도구, 웹환경 구현)
- 미들웨어 솔루션 식별 : 확인, 목록
'정보처리기사 > [inflearn] 필기 (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 제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 데이터 입출력 구현(2) (0) | 2022.03.28 |
---|---|
정보처리기사 - 제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 데이터 입출력 구현(1) (0) | 2022.03.28 |
정보처리기사 - 제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애플리케이션 설계 (0) | 2022.03.23 |
정보처리기사 - 제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화면 설계 (2) (0) | 2022.03.22 |
정보처리기사 - 제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화면 설계 (1) (0) | 2022.03.08 |